건강정보 12

뭘 해도 행복한 사람과 불만인 사람의 말버릇

*우울하고 부정적인 사고가 많을 때 보기 -트라우마가 심할 때는 어떤 좋은 말도 튕겨내게 된다 -내가 힘들 때 안정적인 사람 옆에 있으면 우리의 감정도 편안해질 수 있다 -본인이 행복의 빈도수를 많이 느끼지 못하면 방어적인 (경계) 목표만 세우게 됨 -어떤 일을 잘 마무리하면 그 순간만큼은 성취감과 행복감을 느껴야 하는데 경계목표를 세우는 사람(부정적인 사람)은 약간의 안도감만 느끼고 다시 불안해진다. -불편감을 느끼는 사람은 과거에 충족되지 않았던 감정이 해결이 안 된 것. -어렸을 때부터 ‘세상에 공짜는 없다’, ‘제대로 할 거 아니면 하지마’ 같은 말을 듣고 자랐으면 정서적 억제의 신념이 생긴다. -작은 실수도 이해받거나 인정받지 못하고 잘못한 신념은 왜곡된다고 생각 -상대의 말이나 행동을 있는 그..

정서적으로 학대하는 부모님에게 대처하는 방법

"부모님이 정서적으로 학대를 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가능하다면 경계를 정하여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현재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털어놓는 것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 관리법을 배우고 자존감을 높이는 것 또한 현재와 앞으로의 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1. 정서적 학대 알기 1) 학대 인지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기 -일어나고 있는 일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다. -부모와 정서적으로 더 적절한 거리를 두자. -상황에 대해서 나의 반응에 대한 주도권을 잡자. -부모가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해하고 그 행동은 나 자신이 아니라 그들이 했다는 것을 기억하자. -학대 해결을 위한 도움을 받고 나아지기 2) 학대의 위험 요인들 알기 -폭력을 행사하는 많은 부모가 자신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