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초지식 쌓기
*기초지식을 쌓아야 하는 이유
1) 빠른 변화 속 기회 잡기
2) 사기, 해킹 피해 방지
탈중앙화는 블록체인 기술의 매력이지만 제도권의 보호를 받기는 어려울 수 있음 *기초지식 쌓는 방법
1) 기본 용어 정리
(1) 블록체인 : 공공 거래 장부.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며 거래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2) 암호화폐 :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거래를 위해 암호화된 디지털 화폐로, 비트코인 등이 해당함. 블록체인을 이용해 만든 화폐. 세계적인 경제 참사였던 2008년 금융위기 때, 금융기관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믿을 수 없게 된 사람들이 어디에도 특권을 주지 않고(탈중앙화) 금융 거래를 하기 위해 만들게 된 것이 바로 암호화폐.
= 가상화폐 = 코인 = 크립토 커런시 = 크립토 (크립토는 모두 암호화폐를 지칭하는 용어임)
(3) 비트코인 : 지폐나 동전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전혀 없는 온라인 디지털 화폐 중 하나. 시총 1위
(4) 이더리움 : 시총 2위 가상화폐.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자 플랫폼의 자체 통화명
(5) 이더 스마트 컨트랙트 : 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것. 블록체인 2.0
(6) 체인 :
(7) 토큰 : 블록체인에 등록된 (진짜라는 것이 증명된) 자산
- 트랜잭션
(9) 채굴 : 채굴 또는 마이닝이란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을 생성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얻는 행위를 말한다.
(10) 가스피(Gas Fee) : 파일을 NFT화하는 민팅 작업 때 해당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금액
(11) Gwei NFT : 가스 가격. 마이이더월렛에서 1부터 99까지 설정가능. 이더리움을 세는 단위.
(12) 민팅 : Mint 는 화폐를 주조한다는 의미. 디지털 자산의 코인을 NFT로 만드는 개념
(13) 리스팅 : 상장. 코인시장에서 암호화폐 런칭하는 작업을 뜻함. NFT에서는 판매등록을 의미함.
(14) 드롭 : NFT 프로젝트의 출시를 뜻함.
http://naver.me/xHiPHSLG
(15) 암호화폐 지갑 :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계정.
https://m.blog.naver.com/happykdic/222459428437
(16) 메타마스크 : 이더리움 등 가산화폐를 보관, 송금 관리할 수 있는 지갑. 구글 확장프로그램이라 PC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
(17) 클립지갑 : 카카오에서 생성한 디지털 지갑. 카카오 계열사인 그라운드 X에서 개발한 클레이튼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 보관 지갑.
(18) 클레이튼 : 카카오 블록체인
(19) 폴리곤
(20) 솔라나
(30) 테조스 *참고 : 토스피드에서 발행한 NFT 글
https://blog.toss.im/article/nft-study-club-1
2) 주요 플랫폼, 회사 탐구
(1) 오픈 마켓 플레이스 (이더리움) => Opensea, Rarible
(2) 콜렉터블 마켓 플레이스 (이더리움) => SuperRare, Foundation, KnownOrigin, Nifty Gateway
(3) 기타 마켓 플레이스, 경매(클레이튼, 솔라나, 테조스) => KlipDrops, Solanart, Hic et nunc
(4) 쇼케이스, 가상 갤러리 (메타버스) => Showtime, Cyber, Cryptovoxels
*Showtime : 최신 트렌드 파악할 수 있음. 트랜딩 탭을 누르면 최근 관심받는 작가를 확인할 수 있음
해당 작품을 산 콜렉터들의 SNS 페이지도 확인할 수 있음. 교류를 시작한다면 추후에 활동할 때도 큰 도움이 됨
3) 다른 아티스트들의 화동 참고
4) 최신 뉴스 트렌드 체크
2. 작품 준비하기
1) 작가로서의 방향성 구상
장기적으로 어떤 컨셉, 철학, 방향성을 갖고 활동해나갈지 정리하고, 그에 맞는 작품들을 준비하는게 좋음
2) 소개자료 준비
소개글, 대표이미지, 프로필, 홈페이지 등 (영어로 준비)
3. 커뮤니티 활동
1) 빠른 정보 습득
2) 다양한 기회 포착
3) 공동 작품, 전시, 발표 활동 4) 작품 홍보 5) 사기, 해킹 대응
* NFT 작가들은 주로 트위터, 디스코드, 클럽하우스를 통해 소통
SNS에 미리 작가계정을 만들고 익숙해지는게 좋음
국내의 경우 네이버카페나 카카오톡, 단톡방 위주로 좋은 곳이 있음
4. NFT 만들기
- 오픈씨 추천. 가스피를 최초 1회만 내도 됨.
- 국내 플랫폼의 경우 약관이나 정책을 잘 확인해 볼 것
- 플랫폼별 가스피를 확인가능.
https://youtu.be/Sg3wcxb780I
'경영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한 것과 힙하지 않은 것 (출처 : 캐릿 뉴스레터) (0) | 2022.05.19 |
---|---|
MZ세대와 X세대 (0) | 2022.05.13 |
1020이 생각하는 트렌드의 흐름 (2021.11.01)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