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퍼블리) 몰입도 습관이다 : 시간관리 근육 키우기

MECE 2022. 5. 31. 15:12

 

 

몰입도 습관이다: 시간관리 근육 키우기

내 To Do List는 왜 늘어나기만 할까? / 일정관리, 운동처럼 근육을 키우는 일 / 몰입을 위한 일정관리 스텝 8개

publy.co

- 산만함은 피하고, 방향성을 갖고 일에 몰입하는 일정관리 방법

- 일정관리의 정의 : 내가 지금 해야하는 일을 알고, 온전히 그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일을 잘한다는 건 뭘가? 일을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하는 것

 

  - 효율적으로 :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일을 해내는 것

  - 효과적으로 : 더 중요한 일을 선택해서 수행하는 것

 

* 어떤 일을 할지 선택할 때 소요 시간을 예측하는게 중요하다.

 

=> 일정관리를 잘하면, 일을 효율적이고(내가 하는 일에 집중해 생산성을 높인다) + 효과적으로 (시간을 예측해 무슨 일을 할 지 잘 선택한다) 할 수 있음.

 

몰입을 위한 일정관리 스텝

 

[step1] 내가 한 일 캘린더에 남기기

- 캘린더에 한 일을 기록하면 내가 어디에, 얼마나 시간을 썼는지 트래킹할 수 있다.

[step2] 앞으로 '할 일' 캘린더에 넣어두기

 > 액션 아이템 형태로 추가한다. (ex. 발레 배우기 = 프로젝트 / 가까운 발레 학원 찾아보기 = 액션)

 > 마감일은 넣지 않는다.

 > 몇 시간이 걸릴지 예측한다.

 

*모든 계획을 액션 아이템화 할 수는 없음 -> 당장 액션아이템으로 만들기 어려운 경우 투두리스트에 넣어둘 것

(업무가 캘린더에 들어가기 전 잠시 대기하는 곳)

 

- 마감일을 기준으로 역산해 언제까지 어떤 일을 끝내야하는지 계획

- 이 날엔 이 일을 해야겠네 하는 액션 아이템이 나옴

- 액션 아이템을 캘린더에 적는 것

 

* 캘린더에서 할 일을 관리할 경우에 생기는 3가지 장점

 

1. 바로 실행하는 환경 : 해당 시점이 됐을 때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줄여주고,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생기는 마찰을 줄여주는 환경이 됨

2. 업무 소요 시간 예측 : 캘린더와 투두리스트의 가장 큰 차이 - 시작 시간뿐만 아니라 종료 시각을 적어야 함. 정확하게 업무에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 훈련이 됨

3. 팀의 예측 가능성 증가 : 팀원 전체의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면, 미팅이 많아도 서로 업무를 방해하지 않고 일정을 맞출 수 있음.

 

[step3] 캘린더 업데이트

[step4] 캘린더를 보며 상태 공유

[step5] 당장 안 봐도 되는 메시지 무시하기

-휴대폰 무음 또는 방해금지 모드 활용하기

-집중 근무 시간에는 메신저, 이메일 등 '방해금지 모드', '알람 해제'로 차단하기

 

[step6] 우선순위 말고 '선택과 집중'하기

-10개 중 이번 분기/달/주에 꼭 해야 할 일 3개 정하기 : 나머지 7개 일, 즉 하지 않은 일에 대한 부담이 줄어듦

- 3개 업무 병렬적으로 진행하기 : 순서가 없기 때문에 어떤 태스크에 병목이 생겨도 바로 다음 업무로 넘어갈 수 있음

 

* 하던 일을 중간에 바꾸면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함

=> 일의 맥락을 파악하고 다시 집중하는 데 시간이 걸림

 

비동기 커뮤니케이션이 잘 됐을 때 팀 전체의 생산성이 훨씬 높아짐

 

*비동기  커뮤니케이션이란? : 요청이 있을 때 바로 응하지 않는 것

대화 : 동기 커뮤니케이션 

이메일 :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step7] 비동기 커뮤니케이션하기

[step8] 현재 일에 집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