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마케팅

데이터리안과 함께 GA4 공부하기 -1-

MECE 2022. 11. 23. 23:51

 

 

GA : Google Analytics

로그 수집 및 분석 툴

=>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는 툴

 

GA를 웹사이트와 연결하는 세가지 방법

1. 워드프레스 등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 이용 

-> 식스샵, 카페24, 티스토리 등의 솔루션에는 GA4를 연결하는 플러그인이 있다.

G-로 시작하는 아이디를 넣고, 저장하면 됨.

 

=> 간단하지만 제약이 있음. 확장성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2. GTM(Google Tag Manager) 이용

GTM? 구글 태그 매니저. 태그 관리 시스템. 

웹사이트, 앱의 코드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도 태그를 만들고 수정하고 삭제할 수 있음.

태그 : 데이터를 수집해서 태그 발급 업체(GA, 페이스북 비즈니스 관리자)로 전달.

 => 데이터를 수집해서 GA로 보내주는 코드

 

3. gtag.js (Global site tag) 이용

gtag = 데이터를 수집해서 GA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밍 언어

 *라이브러리 :  기능... 정도로 이해

-> gtag를 이용한다면 새로운 태그를 심기 위해서 웹사이트의 코드를 수정해야 함

GTM을 사용하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태그를 만들 수 있음! 

 

 Q. 그런데 GTM이 있는데 왜 gtag를 굳이 사용할까?

 => 만약에 난개발이 되어있으면 GTM보다 gtag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음 

보고싶은 웹 사용 데이터가 많아지고 데이터를 트래킹해야 하는 마케팅 툴이 늘어난다면

gtag로 일일이 페이지마다 태그를 심어서 관리하기에 점점 무리가 올 수 있다! 

 

 

 

GTM은 GA 태그를 관리하는 도구인가요?

=> GTM은 GA태그를 관리하는 도구이기도 하지만, 페이스북 픽셀 등 다른 태그들을 관리할 때에도 사용 가능

태그? => 특정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ex.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클릭했을 때) 데이터를 만들어서 (어떤 버튼을 클릭 / 언제 클릭 / 누가 클릭 등) 태그 발급 업체(페이스북 픽셀, GA, Hotjar 등)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코드이며 

GTM은 이런 태그들을 관리하는 도구

 

 

GA4 태그의 종류 

1. GA4 구성 : 모든 이벤트에 일괄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것

2. GA4 이벤트 : 각각의 구체적인 이벤트를 정의하는 것 

*모든 GA4이벤트 태그에는 GA4 구성 태그를 연결해주어야 함